728x90

파이썬 pandas는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작업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andas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데이터프레임(DataFram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프레임(DataFrame)

데이터프레임은 엑셀과 유사한 형태의 2차원 자료구조입니다.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열은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프레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리스트, 딕셔너리, 넘파이 배열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프레임 생성하기

아래는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import pandas as pd

data = {'name': ['John', 'Mary', 'Peter', 'Jane'],
        'age': [28, 34, 29, 42],
        'city': ['Seoul', 'New York', 'Paris', 'London']}

df = pd.DataFrame(data)
print(df)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name  age      city
0   John   28     Seoul
1   Mary   34  New York
2  Peter   29     Paris
3   Jane   42    London

 

데이터프레임 인덱싱 및 슬라이싱

데이터프레임에서는 (column) (row) 각각 인덱싱할 있습니다. 열을 인덱싱하는 방법은 딕셔너리의 인덱싱 방법과 유사합니다.

 

print(df['name'])

# 출력결과
0     John
1     Mary
2    Peter
3     Jane
Name: name, dtype: object

 

행을 인덱싱하는 방법은 loc 메서드나 iloc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loc 메서드는 행 인덱스를 기준으로 인덱싱하며, iloc 메서드는 행 번호를 기준으로 인덱싱합니다.

 
# loc 메서드를 사용하여 인덱싱하기
print(df.loc[0])  # 첫 번째 행을 출력합니다.

# iloc 메서드를 사용하여 인덱싱하기
print(df.iloc[0])  # 첫 번째 행을 출력합니다.

#출력결과-loc
name      John
age         28
city     Seoul
Name: 0, dtype: object

#출력결과-iloc
name      John
age         28
city     Seoul
Name: 0, dtype: object

 

아래 코드에서 iloc은 인덱스 번호를 사용하여 데이터프레임을 슬라이싱하며, loc은 열 이름을 사용하여 데이터프레임을 슬라이싱합니다.

iloc에서 [:, 1:3] 모든 (:)에서 1번째 열부터 3번째 (3번째 열은 포함되지 않음)까지 선택합니다.

loc에서 [:, 'name':'math'] 모든 (:)에서 'name'열부터 'math'열까지 선택합니다.

 

# 열 슬라이싱

# 인덱스를 사용하여 열 슬라이싱
df2 = df.iloc[:, 1:3] # 1번째 열부터 3번째 열(3번째 열은 포함되지 않음)까지 선택

# 열 이름을 사용하여 열 슬라이싱
df3 = df.loc[:, 'name':'math'] # 'name'열부터 'math'열까지 선택
728x90
  1. 주식 매수: 주식을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시장 가치: 회사의 시가총액에 따라 결정되는 회사의 가치입니다.
  3. EPS (주당순이익): 기업이 발행한 모든 주식에 대한 순이익을 나눈 값입니다. 높은 EPS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4. PEG (주가 수익성 비율):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한 PER입니다. PEG 1보다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5. 주식 배분: 다양한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여, 투자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6. 주식 : 투자자들이 모여 자금을 조달하여, 해당 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7. 배당 수익률: 주식을 소유한 투자자에게 기업이 주당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수익을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8. 주식 선물: 미래에 발생할 예상 주식 가격에 대한 계약을 말합니다.
  9. 마진 거래: 투자자가 보유하지 않은 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진 거래는 수익을 가져올 있지만, 손실도 가져올 있습니다.
  10. 채권: 회사나 정부 등이 발행한 채무증서로, 채권을 구매하면 발행한 기관으로부터 이자를 받을 있습니다.

아래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인 코스피, 코스닥에 대한 기본 설명입니다.


코스피
(KOSPI) 코스닥(KOSDAQ) 대한민국의 개의 대표적인 주식 시장으로

코스피  대한민국 증권거래소에서 상장된 대기업들의 주식으로 이루어진 시장입니다대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거래소(KRX)에서 운영됩니다.

 

반면 코스닥은 기술 중심의 중소형 기업들의 상장주식으로 이루어진 시장입니다.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들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술 분야의 성장성이 높기 때문에,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많이 상장하고 있습니다.

 

시장 모두 주식을 매수하고 판매할 있으며,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를 이용하여 시장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할 있습니다. 또한, 주식 투자를 하려는 입문자라면 먼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파악하고, 어떤 종목들이 해당 시장에서 거래되는지, 주식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1.생초보를 위한 주식 기초용어 정리  (0) 2023.04.06
728x90

ExceptionHandler는 프로그램 실행 중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이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클래스입니다.

예외가 발생하면, 해당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예외 처리기를 찾아 실행시키며, 처리기가 없을 경우 프로그램은 종료됩니다.

ExceptionHandler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외 처리를 위한 일관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 예외가 발생할 경우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예외 처리를 통해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ExceptionHandler의 단점도 있습니다.

  • 모든 예외를 처리할 수 없으며, 예외 처리에 대한 일부 책임은 개발자에게 남아 있습니다.
  • 처리되지 않은 예외는 예기치 않은 동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는 Java에서 ExceptionHandler 사용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int a = 5 / 0;
    } catch (ArithmeticException e) {
      System.out.println("Cannot divide by zero");
    }
  }
}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을 처리합니다.

이 때, 예외가 발생하면 ExceptionHandler를 사용하여 예외 처리를 담당합니다. ExceptionHandler는 예외 처리와 관련된 로직을 담당하므로, Controller에서 처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예외 처리를 담당하는 ExceptionHandler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Controller 패키지 내부에 위치합니다.

그러나 프로젝트 규모나 구조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있으며, 다른 패키지에 위치해도 상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예외 처리 로직을 담당하는 클래스가 Controller에서 처리되는 것입니다.

728x90

 초보자들을 위한 주식 기본 용어를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1. 주식: 회사에서 발행한 증서를 말하며, 주식을 소유하면 회사의 소유주가 됩니다.
  2. 거래소: 주식을 매도하고 매입할 수 있는 시장을 말합니다. 국내에는 대한민국 거래소(KRX)가 있습니다.
  3. 주식 가격: 주식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요가 많을수록 주식 가격이 상승하고, 공급이 많을수록 주식 가격이 하락합니다.
  4. 주식 지수: 여러 개의 주식 가격을 평균한 가격으로, 대표적인 주식 지수로는 KOSPI, KOSDAQ, 산업평균가, 다우존스 등이 있습니다.
  5. 배당금: 주식을 소유한 사람들에게 기업이 발행한 이익에 대한 일부를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6. 주가 수익률(PER): 기업의 주가와 주당 순이익(당기순이익/발행 주식 수)을 나눈 비율로, 주식이 고평가된 것인지 저평가된 것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7. 시가총액: 회사의 총 발행 주식 수와 주식 가격을 곱한 값으로, 해당 회사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8. 주식 분할: 회사가 발행한 주식 수를 늘리는 것으로, 주식 분할 이후에는 주식 가격이 하락합니다.
  9. 거래 수수료: 주식 거래를 위해 중개 업체에 지불하는 수수료입니다.
  10. 주식 매도: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상으로 초보자들이 주식 투자를 하면서 자주 마주치는 기본적인 용어들을 간단하게 소개해 보았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2.입문자를 위한 주식 기초용어 정리  (0) 2023.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