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딕셔너리 자료형

 

딕셔너리는 해석그대로 사전이라는 뜻입니다.

사전을 보면 한단어와 그에 맞는 뜻으로 이루워져 있습니다.

딕셔너리 자료형에서는 이 한단어를 key라고하고 그에 맞는 뜻을 value라고 하여 key값을 통해 value값을 얻는 것입니다.

key와 value는 1:1 대응관계입니다.

 

리스트에서는 인덱스값을 통해 접근을 했었는데, 딕셔너리에서는 key값을 통해 value값을 얻는게 큰 특징입니다.

 

먼저 딕셔너리만드는 법입니다.

 

#딕셔너리 생성

my_info = {'name' : 'hong', 'age' : ' 19', 'address':'seoul'}

다음과 같이 전체를 { }로 묶어주고 key와 value갑은 : 로 나눠줍니다.

 

a = {1:1}

과 같이 int형으로 선언도 가능하고

 

b = {'a':[1,2,3]}

과 같이 리스트도 가능합니다.

 

#딕셔너리 추가하기

 

딕셔너리 my_info에 새로운정보 job을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my_info['job'] = 'student'  

을 입력하면 my_info에 'job':'student'가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 삭제하기

 

my_info에서 key값이 age인것을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del my_info['age']

을 입력한뒤 확인해보면 age:19가 삭제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에서 key값을 사용해 value값 얻기

 

my_info = {'name' : 'hong', 'age' : ' 19', 'address':'seoul'}

print(my_info['name']) # 결과값 = 'hong'

print(my_info['age]) # 결과값 = 19

+ Recent posts